실행환경
IntelliJ : 2024.3.4.1
Spring Boot : 3.4.3
JDK : 17.0.13
Tomcat : Spring Boot 3.4.3의 기본 Tomcat 버전( 예상 버전 : 10.1.x )
1. 프로젝트 생성 ( 여기선 빈 프로젝트 생성 )

2. 모듈 생성 ( 프로젝트 우클릭 → 새로 만들기 → 모듈 )

3. Spring Boot 클릭 → 자신한테 맞는 경로 및 언어, 타입 등등 지정 ( JSP 사용 시 무조건 War 선택!! )

4. 추가하고 싶은 종석성 선택 ( Spring Boot 버전 선택 가능 )

5. File → Settings 클릭 (빌드 도구 → Gradle에서 빌드 및 실행에 IntelliJ 선택 (default는 gradle) )

6. build.gradle파일에서 dependencies 추가
tomcat이랑 lombok 사용하기 위함!

//tomcat
implementation 'org.apache.tomcat.embed:tomcat-embed-jasper'
implementation 'jakarta.servlet:jakarta.servlet-api'
implementation 'jakarta.servlet.jsp.jstl:jakarta.servlet.jsp.jstl-api'
implementation 'org.glassfish.web:jakarta.servlet.jsp.jstl'
//test
testImplementation 'org.projectlombok:lombok'
testAnnotationProcessor 'org.projectlombok:lombok'
7. SpringBoot 정상 작동 확인


실행은 해당 파일에서 테스트 실행으로 돌려야함!

해당 표시가 나오고 Hello World 문구가 보이면 스프링 부트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의미!
8. 개인 로컬에 jsp 화면 띄어보기 ( main / resources )
기존에 properties 파일은 삭제 ( 요즘은 yml 확장자 파일을 더 선호한다고 함 )
application.yml, application-dev.yml 두 파일 생성

application.yml
spring:
profiles:
active: dev
application-dev.yml
# 1. Server Config
server:
port: "연결할 포트 번호"
servlet:
encoding:
charset: UTF-8
force: true
# 2. Spring Config
spring:
mvc:
view:
prefix: /WEB-INF/views/
suffix: .jsp
# 3. Log Level
logging:
level:
root: info
: 2번에 경로는 자신한테 맞는 경로로 지정해주면 됨
9. 개인 로컬에 jsp 화면 띄어보기 ( main / webapp / WEB-INF / views )
: webapp부터는 직접 만들어준 폴더임 ( 자동 생성 폴더 아님! )

<%@ page contentType="text/html;charset=UTF-8" language="java" %>
<html>
<head>
<title>Title</title>
</head>
<body>
<h1>Main Page</h1>
<%-- 127.0.0.1/second란 뜻 --%>
<h2><a href="/second">Second로 이동</a></h2>
</body>
</html>
<%@ page contentType="text/html;charset=UTF-8" language="java" %>
<html>
<head>
<title>Title</title>
</head>
<body>
<h1>Second Page</h1>
<h2><a href="/third">third로 이동</a></h2>
</body>
</html>
<%@ page contentType="text/html;charset=UTF-8" language="java" %>
<html>
<head>
<title>Title</title>
</head>
<body>
<h1>Third</h1>
<h2><a href="/">index로 이동</a></h2>
</body>
</html>
10. 개인 로컬에 jsp 화면 띄어보기 ( src / main / java / com / mc / controller )

package com.mc.controller;
import org.springframework.stereotype.Controller;
import org.springframework.web.bind.annotation.RequestMapping;
@Controller
public class MainController {
@RequestMapping("/") // 루트라고 요청이 오면
public String main(){
return "index"; // index로 보내줘라
}
@RequestMapping("/second")
public String second(){
return "second";
}
@RequestMapping("/third")
public String third(){
return "third";
}
}
: RequestMapping에 지정한 경로로 요청이 들어오면 지정한 jsp로 반환
실행은 잴 오른쪽 Gradle를 누르면 아래 그림처럼 application 안에 bootRun 클릭! ( 서버 실행 )

11. 실행 결과



'back > Spring Boo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Spring Boot) 인텔리제이[IntelliJ] 다국어 처리 (0) | 2025.05.18 |
---|---|
Spring Boot) 자주 사용하는 어노테이션(Annotation) 정리 (0) | 2025.04.20 |